본문 바로가기
건축학

물량산출방법은 부분별 산출방법과 공종별 산출방법 그리고 원가요소별 산출방법으로 분류

by 정보안내전문가 2025. 1. 13.

부분별 산출 방법

건물의 부분이라는 의미는 건물을 이루고 있는 각 부분을 기계장치의 부품과 같이 가정하여 각 부분을 장소별, 기능별로 분류한 것입니다. 즉 벽과 바닥을 건물을 형성하는 주요 부분으로 보고 그 밖의 부분은 벽과 바닥을 추가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2~3차적 수단으로 분류합니다. 이때 기둥, 보, 기초 등은 건물을 지탱하는 골조의 주요 부분이지만 마감 수량 산출 시에는 감춰진 부분이 됩니다.

 

부분별 산출 방법은 현재 적산 작업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전통적, 보편적 산출 방법이며, 건물의 각 부분별로 바탕에서 마감까지를 포함하고 그 부분의 유기적인 기능을 만들기 위한 모든 가격 요소를 종합하여 합산된 가격으로 비용을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공종별(공정별) 산출 방법

공종(work activity)이란 건축물을 시공할 때 수행하는 작업 명칭을 하나하나 분류해 놓은 것이며, 이것은 공사 내역서 작성 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사의 작업분류에 해당합니다.

물량산출방법은 부분별 산출방법과 공종별 산출방법 그리고 원가요소별 산출방법으로 분류

공정이란 공사의 진행 과정 즉 work progress를 의미하며 PERT/CPM과 공정관리 등에서 사용되는 공사의 진척과 시공 순서를 의미하고 있습니다. 공정의 순서에 따라 물량을 산출하여야 공종간 물량의 중복산출이나 누락되는 문제점들을 줄일 수 있고 정확한 물량산출이 가능해집니다.

 

공종 분류체계의 분류 단계에서 세분화할수록 공사 내용을 자세히 기술할 수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산만해지고 수량 산출 및 단가 산정 업무의 혼선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공종의 분류 단계는 해당 공종의 특성에 따라 세분화 정도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미장공사를 위한 시멘트 모르타르 바르기 공종에 대해서는 더 이상 분류할 필요가 없는 반면 자갈채우기 공종은 자갈의 크기별로 추가분류가 필요합니다.

 

공종의 세분화 단계는 대공종, 중공종, 소공종, 세공종, 세세공종, 추가 고지사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공종은 일정한 구조 또는 부분을 시공하기 위한 공사 작업의 총칭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토공사, 철골공사, 조적 공사 등이 이 단계에 해당합니다.

 

중공종은 공사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위작업으로서 계약수량을 표시하고 단가 산정의 기본이 되는 거래단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벽돌공사, 블록공사, AL 공사 등이 중공종에 해당합니다. 소공종은 단위작업 부위, 조건 또는 단가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의 특성을 말합니다. 소공종에는 ALC 블록쌓기, ALC 패널 설치 등이 해당합니다. 세공종과 세세공종은 단위작업을 구성하는 재료의 재질, 규격 등 계약상 명시해야 할 조건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내벽 패널 두께, 외벽 패널 두께 등 규격을 표시한 부분을 말합니다. 공종의 세분화 분류 단계 중 마지막으로 추가 고지사항 단계는 상기 이외에 단위 작업에 대한 추가적인 특성을 기술하는 것을 말하며, 특수한 규격 등을 명기하는 것이 이 단계에 해당합니다.

 

공종별 산출 방법은 적산 작업에 사용하지 않고 견적 작업과 내역을 정리․작성할 때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종별 분류하는 방법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대공종은 건축공사, 토목공사, 설비공사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중공종은 가설공사, 토공 및 지정 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하게 중공종의 가설공사를 소공종으로 분류해 보면 가설 사무소, 가설 창고, 수평 비계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중공종의 토공 및 지정 공사를 소공종으로 분류해 보면 터파기, 흙막이, 모래지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중공종의 철근콘크리트공사를 소공종으로 분류해 보면 레미콘 타설, 거푸집 설치, 철근 조립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원가 요소별(비목별) 산출 방법

원가요소(Elements of cost)란 건축에 투입되는 공종을 재료비, 노무비, 경비, 외주비 등의 금액으로 분류하여 하나의 공종에 투입되는 비용을 비목별로 나눈 것을 의미합니다. 관공사에는 재료비, 노무비, 경비, 장비비 항목만 관리하고, 민간 건설공사에서는 외주비 항목이 추가됩니다.

 

외주비란 시공회사에서 일부 전문 공종에 대하여 하도급(sub-contract)을 주는 비용(외부 발주공사비)을 말하며, 전문적인 재료와 노무 또는 노무 부분만 전문업체에 하도급을 주는 것으로 외주 처리하기도 합니다.

 

비목은 공사를 각 건물별로 대별, 집계하면 순공사비가 되는 것을 말하며, 과목은 건물마다 공종별로 구분하여 작성, 집계하면 비목이 됩니다. 과목을 세분하여 정리한 세목으로 견적서나 내역서를 기재합니다.

 

원가 요소별 산출 방법은 정확하게는 적산이라기보다 견적에 가깝고 원가 추정을 위한 실행예산을 편성할 때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공사의 예정가격은 공사의 총원가에 부가가치세를 합한 것이고, 총원가는 공사원가와 일반관리비 및 이윤을 합한 것입니다. 공사원가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는데, 건설공사의 특수성에 따라 외주비 항목을 두기도 했지만 1989년에 개정되면서 외주가공비로 하여 경비에 포함시켰습니다.

 

현행 예정가격 작성 기준에 따라 공사가격 구성을 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도급액은 총원가에 부가가치세를 합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도급액 구성항목 중 총원가는 공사원가와 일반관리비 및 이윤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공사원가는 재료비와 노무비, 경비로 구성되어 있고 재료비는 직접재료비와 간접재료비, 노무비는 직접노무비와 간접노무비, 경비는 전력비 외 20개 비목으로 세부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관리비는 공사원가에 일반관리비 요율을 곱하여 산정하고 이윤은 노무에 경비와 일반관리비를 더한 총합계 금액에 회사별 이윤 비율을 곱하여 산정합니다. 직접재료비는 주요 재료비와 부분품비로 구성되고 간접재료비는 소모 재료비, 소모 공구, 기구비품비, 가설 재료비 등을 포함합니다. 직접노무비는 기본급과 제 수당, 상여금, 퇴직급여충당금으로 구성되며 간접노무비는 직접노무비에 간접노무비율을 곱하여 산정합니다. 공사원가를 구성하는 항목은 회사별로 유사하지만 각종 비율은 회사별 준공금액 통계나 회사별 정한 요율을 적용하여 산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