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왕립적산사협회 소개
영국의 RICS(영국 왕립적산사협회, Royal Institution of Chartered Surveyors)가 1881년 설립되면서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유럽 적산사 조직의 견인차 역할을 하면서 유럽 각국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영국의 왕립적산사협회는 7개 부분의 분과로 구성되었으며, 그중에 QS(Quantity Surveyor)가 적산 전문 직능 분과입니다. QS는 미국의 CMr 역할과 같으며, 주요 업무는 원가관리 업무(Cost management), PM/CM 업무, 경영 컨설팅(Management consultancy), 감독 계획(Planning supervision), 분쟁 해결(Dispute resolution), 비용 추정(Cost estimating), 자본 지출 예산(Capital expenditure budget), 가치 경영(Value management), 계약 관리(Contract change management), 변경 관리(Change management), 생애주기 비용(Whole life costing-LCC), 계약 서비스(Contract services)와 같은 업무를 수행합니다.
영국 왕립적산사협회의 활동 및 적산 방법
영국에서는 1992년 제정한 건설공사 내역서식에 따라 수량을 표시합니다. 그래서 SMM(건축공사 적산기준, Standard Method of Measurement of Building Works)을 적산기준 서식으로 사용합니다.
영국의 입찰방식은 설계도서에 공히 BOQ(Bill of Quantity)가 첨부되며 건설 프로젝트 진행 중 수량의 과부족이 발생하면 설계변경의 대상이 됩니다. 이것을 책임 수량 공개 입찰제도라 하며 “총액 + 단가계산방식”을 적용합니다.
영국의 적산사 활동은 17세기 중반 런던대화재 이후 런던의 재건 및 복구를 위해 많은 건설사업이 발주된 결과 영국 건설산업은 호황기를 맞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사 과정의 철저한 검측과 공사대금 지급 금액의 검토 및 사정을 위해 인증적산사라는 별도의 전문직업인이 출현하게 되었습니다.
인증적산사(Quantity Surveyor, QS)의 주요 업무
인증적산사(Quantity Surveyor, QS)의 주요 업무는 설계 초기 단계에서 다양한 비용 모델링기법을 활용하여 발주자와 설계자에게 공사비에 관한 예측, 조언, 계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기본 및 실시설계 단계에서는 이러한 적정 공사비를 고수하기 위해 설계를 조정․통제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적정 공사비 산정과 관리라는 중요 과정이 영국의 건설공사 수행 과정에서는 존재함을 의미합니다.
설계 후기단계에서는 설계자가 작성한 시방서와 도면 등을 근거로 적산사가 수량을 산출하여 BOQ를 만들고, 단가 견적을 작성하여 예정 공사비를 산정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한편, 시공 단계에서는 시공자가 수행한 작업에 대한 기성고 평가 업무를 수행하여 공사 원가관리에도 참여합니다.
영국의 경우는 주택관리사 자격이 철저히 관리되고, 충분한 소양과 교육 및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관리업무를 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업무 자체가 전문적이고 질적으로도 우수하게 수행되고 있습니다.
영국에서 주택매니저(housing manager)가 되는 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첫째로 대학 졸업 후 부여하는 자격(postgraduate diploma)이 있습니다. 이 자격은 주거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2년간 실무경험을 쌓는 방법(시험이 면제되는 이러한 full time postgraduate diploma in Housing 과정을 두고 있는 대학이 10곳, 그 외에도 대학에 개설된 part time postgraduate diploma in Housing 과정을 두고 있는 대학이 9곳 있으며, full time undergraduate degree 과정을 두고 있는 대학이 6곳, part time undergraduate degree 과정을 두는 대학이 1곳 있음)으로 취득합니다.
둘째로 기술전문학교에서 2~3년 동안 풀타임(full time)제의 과정을 이수하고 RICS(영국 왕립적산사협회)의 중간시험을 치른 후 최종시험에 응시하기 위해 파트타임제의 공부를 인정해 주는 조건으로 단지 유관 단체나 기업에 고용되어 2년간 실무경험을 쌓는 방법이 있습니다.
적산기준(SMM)의 목차 소개
영국 왕립적산사협회 건축공사 적산기준(SMM)의 목차는 총칙(general rules), 준비공사(preliminaries), 철거 및 개수 공사(demolitions and alterations), 기초파기 및 토공사(excavation and earth work), 말뚝박기 공사(piling), 콘크리트공사(concrete work), 벽돌 및 블록공사(brick work and block work), 지정 공사(underpinning), 조적 석벽 공사(rubble walling), 석 공사(masonry), 아스팔트 공사(asphalt work), 지붕공사(roofing), 목공사(carpentry), 창호공사(joinery), 철골공사(structural steel work), 금속공사(metal work), 위생 설비공사(plumbing and engineering installations), 전기공사(electrical installations), 미장 및 바닥, 벽, 천장 마무리 공사(plaster work and other floor, wall and ceiling finishing work), 유리공사(glazing), 도장 및 장식 공사(painting and decorating), 배수 공사(drainage), 담장 공사(fencing)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건축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CMr, 일본의 적산협회, 프랑스의 이코노미스트에 대한 소개와 우리나라 적산분야의 현황 (0) | 2025.01.13 |
---|---|
물량산출방법은 부분별 산출방법과 공종별 산출방법 그리고 원가요소별 산출방법으로 분류 (0) | 2025.01.13 |
수량 산출 기준의 개념과 작업의 과정 그리고 검토 사항 및 수량조서와 외주견적 의뢰 항목 (0) | 2025.01.11 |
건축 적산학의 공사비 구성 항목인 직접공사비와 간접공사비 그리고 경비와 손료의 개념 (3) | 2025.01.05 |
건축 적산학의 정의와 이해 그리고 필요성과 주요 분야를 통한 미래 (0) | 2024.12.02 |
적산 견적 업무를 위한 공사비 산출 메커니즘과 공사단가의 이해 및 적산 사전 준비 사항과 적산 견적 기술자의 역할과 적산 작업 체크 포인트 (0) | 2024.11.29 |